강화지역 기숙형 고교 ‘예산 칼질’… 도미노 전학사태 우려

인천시교육청이 강화지역 기숙형 학교에 대한 지원 예산을 대폭 줄여 학부모와 학생들이 학력향상 프로그램 축소를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8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강화지역 내 강화고·강화여고·삼량고에 대한 내년도 기숙형 학교 지원 예산을 올해(13억 5천만 원)보다 30% 삭감한 9억 4천500만 원을 편성했다.

시교육청은 기숙형 학교 특성상 가장 중요한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축소를 방지하고자 기숙형 학교 지원 예산의 30%를 차지하는 급식비를 수익자 부담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학교 측에 권장할 방침이다.

그러나 시교육청이 권장하는 급식비 수익자 부담 전환이 규정상 강제성이 없는데다, 강행 시에도 반발이 우려돼 각 학교가 시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또 기숙형 학교 지원 예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기숙사 관리 운영비 역시 고정비 성격으로 줄일 방법이 없어 결국, 학력향상 프로그램 운영비 축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일부 학생 사이에서는 기숙형 학교의 유일한 사교육 기능인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질이 저하되면 전학을 고려해야 한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이에 따라 학부모와 학생들은 기숙형 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역할을 하는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운영 예산만큼은 어떠한 방법으로라도 별도로 보존해 주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학부모 L씨(46·여)는 “기숙사에 입사한 학생은 학원은커녕 과외도 받을 수 없다. 오로지 학교에서 제공하는 학력향상 프로그램으로 사교육을 대신한다”며 “기숙형 학교 지원 예산 감소로 학력향상 프로그램이 축소되면 기숙사 입사 학생은 도심에서 사교육을 받는 일반 학생보다 학력이 뒤처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기숙형 학교가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도입된 만큼, 이번 기숙형 학교 지원 예산 감소가 학력향상 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급식비 지원을 수익자 부담으로 전환한다면, 프로그램 운영비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