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불안’ 인천AG경기장... 인천시, 민간 매각도 검토

연간 운영비 100억원 이상 필요

인천시가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 경기장을 민간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익형 경기장과 공익형 경기장을 구분해 사후활용 방안을 결정하되 경기장 운영비와 경기장 건설비용 채무상환 등 재원을 고려해 일부 경기장을 매각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28일 열린 인천시의회 제220회 정례회 시정 질의에서 이한구 시의원(새정치민주연합·계양 4)의 ‘인천AG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과 매각 가능성’ 질문에 “경기장의 매각은 관련법상 절차가 있으나 가능하다. 특히 인천 아시아드 주경기장, 남동, 선학, 계양경기장의 경우 인근에 대규모 유휴부지와 연계해 개발할 수 있다”면서 “민간에서 제안이 있을 경우 관리비 부담 등 여러 여건을 고려해 매각을 검토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 중 매각은 후순위다. 시는 우선 인천 아시아드 주경기장과 박태환 문학수영장 등 수익형 경기장은 판매시설을 유치하고 외부공간을 개발해 수익성을 확대하는 한편, 경기장 명칭 사용권을 판매해 수익을 올리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또 주경기장과 남동, 선학, 계양경기장은 잔여부지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 개발하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옥련국제사격장, 선학하키경기장, 연희크리켓경기장은 엘리트선수를 육성하는 데 필요한 국가훈련센터로 전환할 생각이다.

무엇보다 경기장 사용료를 현실화해 이용객을 유치하고 위탁운영 등 운영비 절감방안도 찾고 있다.

하지만, 경기장 내 수익시설을 유치하기가 현실적으로 녹록지 않다. 기대수익이 가장 많은 주경기장도 인근 청라, 영종지역에 대형 쇼핑몰이 들어서기로 하면서 대형 유통기업의 관심이 떨어지고 있다.

경기장 채무상환과 운영비 재원마련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는 17개 경기장 신축에 총 1조 2천523억 원의 지방채를 발행했고 신설 경기장 운영비만 1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시가 수익시설 유치에 실패할 경우 최후의 카드로 매각을 선택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경기장 매각이 법적으로 가능하고 검토 방안 중 하나라는 것을 밝히는 차원에서 언급한 것”이라며 “이른 시일 안으로 구체적인 사후활용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