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빚… 소비위축 우려
가계대출이 지난 8월과 10월에 이어 11월 또다시 4조원 증가하는 등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초이노믹스’로 일컬어지는 부동산 규제 완화와 저금리 정책이 가계대출의 급증을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외환 등 7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7일 현재 443조7천834억원으로 지난 10월 말에 비해 3조9천973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마지막 영업일인 28일 증가분을 합치면 증가액이 4조원을 넘어선 셈이다.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4조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 8월 4조6천302억원과 10월 4조8천459억원에 이어 올해 들어서만 세 번째다.
특히 이들 7개 시중은행을 포함해 가계대출을 취급하는 나머지 10개 은행을 합산할 경우 전체 은행권의 11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 10월 6조9천억원 증가에 버금가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가계 대출이 급증하면서 민간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가계 빚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경우 민간 소비를 급속히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대다수 전문가들은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주택 매매가 활발해질 경우 관련 업종의 소득이 늘고 주택소유자들의 자산가치가 늘어 소비가 증가하게 되지만, 집값이 하락할 경우 빚을 내 집을 산 사람들의 부담이 커져 민간 소비는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에도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결국 부채 증가는 가계에 큰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기만을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