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소각장 굴뚝보다 높은 ‘초고층 아파트 신축’ 민원 우려

“도시계획심의때 거론조차 없었다”
시민단체 “사전심의 졸속 탓… 집단 민원땐 위원들도 책임져야”

요진건설이 고양시 백석동 생활쓰레기 소각장 인근에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를 신축, 입주민의 유해물질 노출 우려가 제기(본보 10월28일자 10면)된 가운데, 아파트 건설 승인을 위한 도시계획심의 등 사전 심의가 ‘수박 겉핥기’식으로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아파트 건설 이후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와 소각장 연관 문제로 대규모 민원이 예측됐음에도 불구,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24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9년 12월10일 23명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시 도시계획위원회 및 제5회 공동위원회’를 열고 ‘도시관리계획(유통업무시설 폐지, 일산구역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을 통과시켰다.

Y-city 부지는 당초 유통업무시설이라 주거용인 아파트가 불가능했지만, 이날 회의 결과로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건립이 가능해졌다.

이날은 또 55층에서 59층까지 올라가는 Y-city 건축 심의인 ‘공동위원회’도 열려 별 무리 없이 통과됐다.

이런 가운데 본보의 당시 회의록 열람결과, 인근 소각장 굴뚝보다 높게 올라가는 Y-city 입주민들에 대한 우려는 거론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회의에서 위원들은 ‘학교위치 변경에 따른 공공 보행 통로 재검토’, ‘통행로 안전확보 방안’, ‘주변지역 고려한 건축 계획 수립‘ 등의 의견만을 제시했다.

단지 한 위원만이 인근 열병합발전소와 관련, ‘열병합발전소로 인해 환경적인 문제 야기, 이에 대한 대처 필요’란 발언을 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상황이 이렇자 시민단체 등은 도시계획심의 때 소각장 문제가 거론되지 않은 것은 졸속 행정이고, 차후에 대규모 민원이 발생하면 당시 위원들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소각장은 지난 2010년 4월부터 가동에 들어갔기 때문에 이 회의에서 이야기조차 안 된 이유를 모르겠다”며 “대규모 민원 발생 소지가 있는데도 언급조차 안 된 것은 위원회 자체가 졸속으로 진행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소각장 건설 당시 굴뚝 높이는 당시 주위에서 가장 높았던 일산병원을 기준으로 결정됐다”며 “당시 심의 때 소각장 문제가 언급됐다면 아파트 층수 조정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양=유제원ㆍ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