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 ‘실태조사’ 때문에?… 학교운영위聯·시교육청 때아닌 ‘갈등’

인천지역 학교운영위원과 인천시교육청이 학교급식 실태조사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18일 인천지역 학교운영위원으로 구성된 ㈔인천 초·중·고등학교 학교운영위원연합회(이하 연합회)에 따르면 지역 학생의 급식이 안전한 유통과 위생적인 처리를 거치는지 확인하고자 지난 2012년부터 학교급식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13일 시교육청이 연합회의 급식 실태조사에 대해 ‘공신력이 없다’는 내용의 공문을 급식공급업체에 안내하면서 연합회와 시교육청 간 갈등이 시작됐다. 연합회는 학교운영위원이 법적으로 급식 실태조사를 할 수 있고, 당연히 공신력도 갖고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학교운영위원은 ‘인천광역시립 학교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학교 급식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시교육청이 발표한 ‘2014 학교 급식 기본방향’에 따라 학교급식소위원을 겸할 수 있어 급식품 검수 및 검식 등 급식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기 때문이다.

김현실 연합회 사무국장은 “자기 아이가 먹는 급식에 대해 따져보지 않을 학부모가 어디에 있느냐”며 “실태조사에 도움을 주지 못할망정, 왜 방해를 하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반면, 시교육청은 연합회의 실태조사가 24명의 학교운영위원으로만 진행되기 때문에 공신력이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관련 법 등에 따라 학교운영위원(학교급식소위원 겸)은 자신이 해당한 학교의 급식 실태조사만 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연합회에 급식공급업체와 관련된 인사들이 있어 다른 급식공급업체의 반발이 거세 오해를 풀고자 해당 공문을 보내게 된 것”이라며 “공문에 명시한 공신력이 없다는 내용은 법적 근거가 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학교운영위원연합회는 오는 28일까지 지역 내 55개 급식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