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2천여명 참가 대책위 오늘 또 대규모 반대 집회 이주대책 등 갈등 장기화 공항공사, 소통 보단 강행
인천국제공항 3단계 확장 사업을 놓고 사업주체와 지역주민 간 갈등이 장기화되고 있다.
자칫 동북아 허브공항 이미지 훼손마저 우려되고 있어 사업주체의 적극적인 협의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4조 9천억여 원을 투입해 제2여객터미널(연면적 38만4천㎡)와 여객·화물기 계류장 80개 등을 건설하는 인천공항 3단계 사업을 오는 2017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공항 활주로 전면에 있는 섬 주민의 반발이 장기화되고 있다. 옹진군 북도면(신·시·모·장봉도) 2천여 주민은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달 공항공사 국정감사 날에 이어 1개월 만인 17일 대규모 2차 집회에 나선다.
차광윤 북도면 인천공항피해 대책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은 “3단계 사업 완료 후 추가 활주로가 건설되면 항공기 이·착륙 수치가 150% 늘어난 연 74만 회로 증가해 주민 피해가 가중된다”며 “특히 3단계 사업으로 기존 삼목선착장(영종~북도면) 진입도로가 3㎞가량 멀게 변경되는 데 공항공사는 뒷짐만 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이주대책 및 지역사회 공헌 기금 출연, 삼목 선착장 직접 진입로 확보 등을 공항공사에 요구하고 있다.
반면, 공항공사는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추가 활주로(4번) 증설은 2026년 이후, 또 74만 회 운항횟수는 완공 시점을 알 수 없는 5개 활주로 체제의 예측치로 현 3단계 확장 사업과는 연관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삼목 선착장 도로는 인접 교차로와의 간격이 설계기준(1㎞)에 미달(870m)하는 등 안전상 문제가 있다”며 주민들의 진입로 확보 주장을 일축했다.
이와 관련, 김정헌 인천시의원은 “기준치 아래라고 안 시끄러운 게 아니다. 10여 년간 피해의식이 쌓인 주민에게 공항공사가 법적 기준만 운운하며 소극적으로 대처하다 보니 갈등만 초래하고 있다”며 “동북아 허브공항의 이미지 훼손을 막기 위해서라도 공항공사가 주민과의 갈등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동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