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도시기본계획 확정 도시개발사업 본격화 전망
부천시가 수립한 ‘2030 부천도시기본계획’이 최근 경기도의 승인을 받아 확정됐다.
13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시민계획단(Proposal Group)이 제안한 ‘자연과 문화, 사람이 소통하는 건강한 균형도시 부천’을 도시 미래상으로 하는 ‘2030 부천도시기본계획’을 수립, 지난해 10월28일 주민공청회를 거쳐 12월23일 경기도에 승인을 신청해 확정됐다.
이번에 승인된 2030 부천도시기본계획은 장래 부천시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미래상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중장기 정책계획으로 인구계획, 공간구조 재편 설정을 비롯한 토지이용, 공원녹지 등의 부문별 계획이 담겨 있다.
경기도의 승인을 받은 ‘2030 부천도시기본계획’을 보면 오는 2030년 계획인구는 99만1천명이며 도시 공간구조는 2도심 5지구 중심에서 1도심 2부도심 4지구의 3개 생활권 중심으로 재편할 계획이다.
토지이용은 용도지역 현실화 차원에서 변경되는 시가화용지 0.984㎢ 및 지역현안사업 추진을 위한 상동영상문화단지, 종합운동장 역세권개발, 소사복합역사 개발계획 등 시가화예정용지 2.032㎢가 반영돼 단계별 도시개발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그동안 부족했던 시가화예정용지를 확보함에 따라 지역현안사업의 계획적 추진 및 자족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 각종 도시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교통계획에서는 대곡~소사~원시선 복선전철 계획 등이 반영됐고 장기적 추진과제로 서울홍대입구~화곡 2호선 연장 계획과 경인선 철도 및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도 계획에 포함됐다. 아울러 공원녹지계획으로는 지역 거점공원을 확대 조성해 1인당 공원면적을 6.6㎡에서 7㎡로 확충하는 내용이 제시됐다.
부천=윤승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