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투위 “오폐수 흐르는 하천” 실효성 의문·상가 생존권 위협 사업 백지화 촉구 투쟁 본격화
부천시가 심곡 복개천 생태복원사업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복개천 인근 상인 및 주민들로 구성된 ‘심곡 복개천 철거 반대투쟁위원회’가 반대 투쟁에 나서기로 해 ‘민·관’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만수 시장은 3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심곡 복개천 생태복원사업을 이달 중에 발주해 2016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하고 2017년 4월께 시민들에게 개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심곡 복개천 생태복원사업은 원미구 심곡동 소명여고 사거리에서 원미보건소 앞까지 약 1㎞ 구간을 복개해 생태하천으로 복원시키는 사업으로 복개된 심곡천은 18.6m의 친수공간으로 조성하고 굴포 하수처리장에서 생산되는 2급수의 재이용수를 공급할 예정이다.
시는 공사기간 우회도로 확보, 노외 공영주차장 신설, 분할공사 및 공기단축 등으로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반투위는 심곡 복개천 생태복원사업을 강력히 반대하며 철거가 중단될 때까지 투쟁하겠다는 방침이다.
반투위는 심곡천은 태생부터 오폐수가 흐르던 생활하천으로 혈세 500억여원을 투입해 인공하천을 만드는 것은 주변 서민들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시가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았던 서울 청계천이나 수원천과는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공사로 인해 복개천 인근 250여 상가도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반투위는 이날 긴급회의를 열고 그동안 제작한 반대투쟁 홍보 전단지 1만부를 복개 구간 인근 상가 및 가정에 개별발송했으며 추가로 2만부를 제작 중이다. 또한 4일부터는 시청 앞에서 심곡 복개천 생태복원사업 반대 1인 릴레이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김유성 반투위 공동대책위원장은 “심곡 복개천 복원사업에는 국비 210억원, 도비 70억원, 시비 70억원 등 350억원의 혈세가 들어가며 주차장 건설 등 추가비용만 150억원 이상 소요된다”면서 “교통 및 주차불편을 야기하고 환경적으로도 상당히 문제가 많은 사업을 왜 추진하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심곡 복개천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되면 원도심 균형발전과 자연친화적 도심 친수공간으로 거듭나 부천의 또 다른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심곡천 복원사업 홍보관을 운영, 사업전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등 반대 주민들을 설득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천=윤승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