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될 것이 확실시 된다.
문화재청은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임시소위원회인 심사보조기구가 우리 정부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농악에 대해 ‘등재권고’ 의견을 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등재권고 판정은 이변이 없는 한 그해 개최되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그대로 인정된다는 점에서 농악은 한국의 17번째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올해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는 오는 11월24~28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다.
심사보조기구는 “활력적이고 창의적인 농악은 일년 내내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많은 행사장에서 공연이 이뤄지고 있으며, 공연자와 참여자들에게 정체성을 제공하는 유산으로서 농악의 등재는 인류의 창의성과 문화 다양성에 이바지함으로써 무형문화유산의 가시성을 높이고 국내외 다양한 공동체들 간의 대화를 촉진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국이 이미 등재한 인류무형유산은 아리랑 외에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판소리(2003), 강릉단오제(2005), 강강술래·남사당놀이·영산재·제주칠머리당영등굿·처용무(이상 2009), 가곡·대목장·매사냥(이상 2010), 택견·줄타기·한산모시짜기(이상 2011), 김장문화(2013)가 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