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국제화 특구’ 부익부빈익빈… 지역따라 예산지원 규모 ‘고무줄’

연수구, 학교당 1억5천만원… 서구·계양구는 8천500만원

인천지역 교육 국제화 특구가 지자체 역량에 따라 교육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서구·계양구가 교육 국제화 특구 투자계획을 세우면서 지방비 대응 투자를 우려해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에 지원하는 교육재정특별교부금(이하 교육재정특교)을 다른 교육 국제화 특구보다 적게 신청했기 때문이다.

27일 인천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 2012년 9월28일 교육 국제화 특구로 지정된 서부(서구·계양구), 연수구는 초·중등분야 사업의 하나로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 10곳(서부 6곳, 연수구 4곳)을 지정·운영 중이다.

그러나 이들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에 지원되는 예산은 지역 단위별 차이가 매우 크다.

올해 연수구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에 지원되는 예산은 1억 5천만 원인 것에 비해 서부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 지원 예산은 8천500만 원에 불과하다.

이는 서부가 지방비 대응 투자(국고와 교육재정특교 예산의 합만큼 지방비로 투자)를 우려해 교육재정특교를 연수구보다 2억여 원 적은 5억 1천만 원을 신청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부의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는 사업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원어민 강사 채용에만 평균 4천만 원(체류비 등 포함)이 들기 때문에 일부 서부의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는 시간제 형태로 원어민 강사를 단기 채용하고 있다.

이들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는 원어민 강사를 단기 채용하면서 교육 과정 운영상 흐름이 끊기거나 원어민 강사의 참여없이 일부 사업을 운영하는 등 한계를 보이고 있다.

서부의 한 국제화 자율 정책추진학교 관계자는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원어민 강사 등을 운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며 “원어민 강사 채용은 물론, 교원 역량 강화 사업 등도 예산 부족으로 한정된 인원만 겨우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계양구·서구 교육 국제화 특구 관계자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지원 예산 차이에 따른 사업 운영의 격차를 줄이고 있다”며 “이밖에 주변 대학과 연계한 지역 네트워크 구성 등을 통해 양적인 수준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 향상에도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