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된 팥 흔적 발견… 팥 재배 추정 시기보다 2000년 빨라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 유적 출토 토기에서 7천년 전 신석기시대 팥 흔적이 발견됐다.
지난 14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 유적 출토 토기 분석 결과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7천년 전 신석기시대 팥 흔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소 측은 '식물고고학을 통한 선사 시대 농경화 연구' 일환으로 양양군 오산리선사유적박물관이 소장한 이 유적 출토 토기 압흔(壓痕· 눌린 흔적)을 조사하다가 팥에 눌린 흔적을 두 군데에서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한국, 중국, 일본에서 팥을 재배한 시기로 5000년 전이 가장 이른 것으로 추정됐지만 팥 압흔이 확인된 토기 표면 탄화유기물을 미국 베타연구소(Beta Analytic)에 연대 측정을 의뢰한 결과 7314~7189년 전으로 나와 2000년 더 이른 시기에 동북아에서 팥이 재배됐을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연구소는 평가했다.
또한 신석기 조기부터 중기에 걸쳐 팥이 재배되는 과정에서 크기가 점차 커지는 재배화(栽培化·Domestication syndrome) 경향까지 확인됨으로써 농경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팥 흔적과 더불어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에서 발견된 점토 덩어리에서는 신석기 중기에 해당하는 곤충의 압흔도 확인됐는데 분석 결과 농업 해충으로 알려진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선사 시대 농경과 관련해서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밖에도 토기에서는 다량의 조, 기장, 들깨 압흔도 함께 드러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소는 "이는 신석기 중기에 와서 조, 기장 등의 잡곡과 들깨까지 직접 재배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신석기 시대 식생활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번 분석결과를 포함한 종합연구보고서와 고고식물자료집은 내년에 발간될 예정이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가장 오래된 팥 흔적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