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전단 살포… “자제” VS “계속”

北 총격사태에도 대북단체 강경 접경지역 주민들과 마찰 우려

대북전단 풍선을 향해 북한이 총격을 가하고 이 실탄이 민간인 거주지역으로 날아드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접경지역 주민과 개성공단 입주기업은 물론, 전문가들도 대북전단 살포는 자제돼야 한다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북한과의 사상과 이념, 체제문제로 접경지역 주민이 더 이상 위험한 상황에 노출돼서는 안되며, 올 초 남북고위급 합의 핵심내용인 상호비방·중상 중단 합의가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탈북자단체 등 대북단체는 대북전단 살포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접경지역 주민과의 마찰도 우려되고 있다.

12일 연천과 파주 등 접경지역 주민들은 탈북단체들의 대북전단 풍선과 관련, 지난 10일 연천군 중면사무소 옆 민방공대피소에 북한이 공중으로 사격한 14.5㎜ 고사총 실탄 2발이 떨어져 긴급 대피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연천지역 주민 A씨는 “(대북전단 살포에 의해)피해를 보는 것은 주민들뿐”이라면서 “정부의 자제요청을 듣지않고 공개적으로 대북전단을 뿌리는 사람은 처벌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비무장지대 안 파주 대성동 마을에 거주하는 B씨 역시 “그렇게 대북전단 살포를 말렸는데 탈북자단체는 들은 척 만척 막무가내로 대북전단을 살포해 피해를 보게 생겼다”며 북한도발을 우려했고, 오두산통일주차장 인근에서 영업하는 C씨(46)도 “북한이 바뀌는 것도 필요하나 당장 우리들의 생업이 우선이다. 당국이 하지 못하면 상인들이 힘을 합쳐 대북전단살포를 철저히 막겠다”고 선언했다.

개성공단 기업인들도 앞서 대북전단 살포 전 풍선날리기 행사를 자제해 달라고 공식적으로 요청했었다.

북한 전문가들도 올 초 남북고위급 합의 핵심내용이 상호비방 중상 중단 합의였다며 대북전단 풍선 날리기를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연철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대북단체는 남북고위급 합의 이후에도 백령도에서 전단을 살포하는 등 약속을 깨트렸고 이 같은 일이 계속 반복되면서 실제 총격전까지 벌어지게 됐다”면서 “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걸려 있는 만큼 (북한을 자극하는)전단 살포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북단체들은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할 이유가 없다며 강경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와 이민복 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대북풍선단장은 각각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을 향해 14.5㎜ 고사총을 발포했음에도 전단 살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사람은 “북한의 공갈 협박에 굴하지 않고 전단 살포를 계속하겠다. 전단 살포를 멈출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지역종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