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용자는 봉(?)’ … 삼성, 휴대폰 보증기간 역차별 '불매운동이라도 할까'

'삼성 휴대폰 보증기간 역차별'

‘한국 사용자는 봉(?)’ … 삼성, 휴대폰 보증기간 역차별 '불매운동이라도 할까'

삼성전자의 이중성이 드러났다. 삼성전자가 국내에 시판 중인 휴대폰 단말기의 품질보증기간이 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휴대폰의 보증기간보다 1년이나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측은 국내 법규과 소비자 권고안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설득력은 떨어진다.

12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장병완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공개한 삼성전자 휴대폰 국가별 품질보증기간 자료에 따르면 품질보증기간이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는 2년인데 비해 한국에서는 1년에 불과했다.

장 의원은 “국내 휴대폰 품질보증기간이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짧은 휴대폰 교체주기(15.6년)를 기록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는 국민들의 가계통신비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IT시장조사기관인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단말기 교체율은 77.1%, 교체주기는 15.6개월로 각각 세계 1위다.

장 의원은 “휴대폰 품질보증기간과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에서 국내 소비자들을 역차별 하는 것은 조속히 시정해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고 삼성전자 측의 조속한 시정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측은 “일부 해외 국가에서 보증기간을 2년으로 한 것은 현지 법규와 소비자 권고안에 따른 것”으로 역차별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소비자 분쟁 해결 기준’에 따라 보증기간을 최소 1년 이상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 모든 제조사들이 품질 보증 기간을 1년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 누리꾼은 “서비스 등을 이유로 삼성이 외국보다 한국 휴대폰에 가격을 더 붙여 팔고도 서비스는 외국의 반토막이라며 너무나 괘씸해 불매운동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라며 “기술력은 글로벌을 외치면서, 정작 고객서비스는 바닥”고 비판했다.

사진 = 삼성 휴대폰 보증기간 역차별, 연합뉴스(기사내용과 사진은 아무련 관련이 없습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