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교사 장학관·연구학교 폐지 등 인사·교육정책 관련 불만 확산 일부 교장 혁신학교 보이콧 소문
인천지역 일부 학교장과 인천시교육청 사이에 이상 기류가 흐르고 있다.
평교사 장학관 채용부터 시범·연구학교 폐지 논의 등으로 일부 학교장의 불만이 커지는 데다, 이 같은 불만이 혁신학교 등 시교육청 교육정책 추진에 보이콧(공동 거부)으로 번질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6일 인천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이청연 교육감이 취임한 이후 인천지역 일부 학교장의 불만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 1일 시교육청 인사발령에서 이례적으로 평교사를 장학관으로 임명한 것과 서부·강화 교육장 공모 등 인사 문제가 불만의 주요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장학관과 교육장(3급 상당 장학관)은 보편적으로 학교장이 전직할 수 있는 교육공무원 인사로 알려졌지만, 최근 인사발령에서 평교사가 장학관으로 임명되는 등 기존 교육계의 관습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또 시교육청이 부족한 교육 예산 확보를 위해 시범·연구학교 폐지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예산 지원이 끊길 것을 우려한 일부 학교장의 불만도 거세지고 있다.
이처럼 일부 학교장의 불만이 커지면서 시교육청 정책 추진에도 각종 잡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최근 인천의 한 초교에서는 혁신학교 공모교 계획 공문을 정규 교사에게 알리지 않은 채 독단적으로 처리한 학교장이 문제가 됐으며, 지난달에는 일제형 지필고사 폐지 방침을 어기고 학부모에게 중간·기말고사를 치르겠다는 가정통신문을 발송한 학교가 시교육청으로부터 제지를 받았다.
또 교육계 일각에서는 일부 학교장이 혁신학교에 대해 보이콧을 추진 중이라는 소문까지 돌고 있다.
한 학교장은 “평소 친분이 있는 학교장끼리 모이면 시교육청 인사를 두고 서로 혀를 차기에 바쁘다”며 “대놓고 불만을 터뜨리지 않는 것뿐이지, 많은 학교장이 불만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오랜 시간 지켜져 온 관습이 깨지면서 일부 학교장이 불만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한다”며 “소통을 통해 오해와 갈등을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