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이동 매력없어? 기기변경 ‘우회’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 시행된 이후 신규 가입 및 번호이동건수는 크게 감소한 반면 휴대전화 기기변경과 중고 단말기 개통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통법 시행으로 단말기 보조금이 사실상 대폭 감소함에 따라 고객들이 크게 실망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의 기기변경 건수는 단통법 시행 하루 뒤인 2일 9천500여건, 3일에는 1만1천100여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달 하루 평균 기기변경 건수가 7천500여건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주목할 만한 상승세다.
KT와 LGU+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신규 가입 및 번호이동 건수는 9월 하루 평균 2만1천여건에서 단통법 시행 이후 첫날 6천500여건, 둘째날 8천400여건 등으로 급락했다.
이같은 현상은 단통법 시행으로 가입 유형에 따른 보조금 차별이 금지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보조금이 거의 없다시피한 기기변경에도 보조금 혜택이 주어지면서 신규 가입 및 번호이동 수요가 일부 기기변경으로 이동했다는 예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도 보조금 액수와 관계없이 기기변경을 원하는 고객은 꾸준히 있었는데 보조금 혜택이 생기면서 기기변경 수요가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고 단말기 개통이 인기를 끄는 것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지난달 SK텔레콤의 중고 단말기 개통 건수(일평균 기준)는 전체 가입자의 7% 수준이었지만 단통법 시행 이후 이틀 동안에는 각각 10%, 11%로 급증했다. KT도 0.6%에서 5.7%, 4.4%로 8∼9배 늘었다.
중고 단말기 또는 자급제 단말기 사용자에 대해 매월 요금제 실 납부액의 12%를 할인해주는 분리요금제의 위력이 일부 입증된 셈이다.
특히 이통 3사가 제시한 보조금 액수가 시장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치면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결국 이통시장을 움직이는 핵심 요인은 보조금 액수”라며 “이통 3사가 일주일 간격으로 보조금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시장 패턴이 급변할 수 있는 만큼 장기적이고 좀 더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