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업체, 정부 대책촉구
이상 기후에 따른 원유 과잉 생산이 장기화하면서 우유재고가 1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우유업체들은 조만간 수백억원의 적자를 떠안고 남은 분유를 헐값에 처분하거나 버려야 하는 ‘한계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21일 우유업체와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분유재고(제품으로 만들고 남은 원유를 말려 보관)는 1만4천896t으로, 이는 지난 2002년 이후 12년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그동안 우유 제조업체들은 재고를 해소하기 위해 소비촉진에 나서거나 우유 및 발효유 등의 신제품을 출시해왔다. 하지만 이마트가 올들어 8월까지 집계한 매출 결과, 전체 유제품 매출은 오히려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 줄었다. 특히 재고 관리에 일부 숨통을 열어 줬던 대중국 수출길마저 막히면서 일부 업체들은 이미 한계상황을 맞고 있다.
A업체의 경우 현재 하루 200t 이상의 잉여 원유가 발생하고 있으며 탈지분유 형태로 저장 중인 우유는 전체 분유재고의 35%에 해당하는 6천t에 이르고 있다. 1천t 규모의 저장시설을 보유한 이 업체는 외부 창고를 임대해 5천t 가량의 탈지분유를 추가로 저장하고 있다. 창고 유지 및 보관 비용만 연간 10억원 수준으로 추가 저장시설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B업체는 탈지분유 재고가 작년보다 40% 가량 늘어나 재고가 내부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규모를 넘어서면서 외부 창고를 빌려 제품을 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유가 남아도는데도 원유가격연동제 때문에 가격은 내려가지 않는 상황에서 재고만 쌓여가고 있다”며 “정부와 낙농가,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돌파구를 마련하지 않으면 남는 우유를 내다버리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