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여년 전 조선시대의 건축양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소재한 고택 영사정(永思亭)이 복원돼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고양시는 2일 최성 시장을 비롯 시민과 고양600년 범시민추진위원회 위원(위원장 유재덕), 향토사학자들과 각 기관단체장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복원식을 개최했다.
복원된 영사정은 앞으로 전통역사 문화의 교육과 체험공간으로 활용된다.
조선조 숙종 35년(1709년)에 지어진 영사정은 숙종의 둘째 계비인 인원왕후의 아버지인 경은부원군 경주김씨 김주신이 아버지 김일진을 제사 지내며 살림도 했던 곳으로 유래가 명확한 재사 건축이다.
‘ㄷ’자형 안채와 ‘ㅡ’자형 행랑채가 나란히 놓여 튼 ㅁ자형으로 배치돼 약 300여년 전의 건축양식이 오늘날까지 보존돼온 보기 드문 건축물이며 조선후기 살림집 구조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3월23일 경기도 문화재자료(제157호)로 지정됐다.
시는 2011년 12월 폐가로 방치돼 있던 영사정을 복원하기 위한 정밀해체 및 실측조사를 실시했고 지난해 10월 총사업비 8억여원을 들여 지상 1층, 연면적 127.4㎡ 규모의 영사정 안채 및 행랑채 복원공사에 들어갔다.
최성 시장은 “문화재 복원을 통해 고양600년 역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현대인들의 전통 역사문화 체험과 문화유적답사의 기회를 넓힐 수 있어 100만 고양시민들이 600년 문화행복도시로 한걸음 더 나가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