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공원 안전대책·토양정화 동시 진행을”

부평 시민단체 문화재 발굴 2차 오염 우려

인천시 부평구 부영공원에 대한 문화재 발굴조사가 시작된 가운데 지역 시민단체들이 시민 안전대책과 토양정화 동시 진행을 요구하고 나섰다.

4일 부평구에 따르면 부평구 산곡동 산 20 일원 부영공원 12만 7천800㎡를 이날부터 전면 폐쇄하고 국방부가 의뢰한 기호문화재연구원이 공원 5만 4천930㎡에 대한 시굴조사에 착수했다.

부영공원 일대는 과거 일본강점기 일본군 조병창 부지로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으로 확인됨에 따라 국방부는 토양정화작업에 앞서 전체 부지 중 일부에 대해 유적 가능성을 살피는 시굴조사를 진행한다.

이번 조사에서 구체적인 문화재가 확인되면 6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정밀조사가 이뤄지며, 정밀조사 후 예정된 정화작업(2년가량)을 벌일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정화작업을 마치고 다시 주민 품에 돌아오기까지 2~3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역 시민단체는 빠르고 안전한 부영공원 반환을 위한 대책을 주문하고 있다. 이들은 문화재 조사 과정 중 2차 오염을 막기 위한 주민 접근 차단 및 오염원 확산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시굴조사 과정에서 3m 깊이로 토양을 파게 돼 자칫 인근 주민이 현장에서 낙상사고를 당하거나 오염물질에 접촉하는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또 조사 과정에서 오염물질의 외부 노출이 불가피한 만큼 기간 단축을 위해 문화재 조사와 토양 정화작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곽경전 부평 미군부대 시민참여위원회 부위원장은 “아파트나 학교가 많은 지역 특성상 주민의 2차 피해가 우려된다”며 “문화재 조사에서 토양을 파내는 만큼 정화작업을 함께하면 기간·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조사업체와 시굴 현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히해 오염물질의 확산을 막도록 할 것”이라며 “시굴조사 미진행 부지에 대한 정화작업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