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플랜트건설노조 파업… ‘임금 지급보증제’ 등 9개항 요구

민주노총이 22일 동맹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건설노동자들이 건설현장 법제도 개선, 간접고용 철폐 등을 요구하며 대거 참여, 경기도 내 공사 현장 곳곳에서 차질이 빚어졌다.

특히 2천400만㎡ 규모로 조성 중인 도내 최대 신도시 동탄 2 지구의 타워크레인 기사 대부분이 민노총 소속으로 타워크레인 가동이 사실상 중단됐다.

이날 오전 11시께 화성시 동탄면 동탄2신도시 아파트 밀집 공사 현장.

한눈에 보더라도 곳곳에 설치된 수십 대의 타워크레인 중 가동되는 것은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1천100여 세대가 들어서는 A 아파트 공사 현장에는 6개의 타워크레인이 설치돼 있었지만, 가동되는 것은 단 하나에 불과했다. 타워크레인 기사들이 파업에 참가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갔기 때문이다.

이에 건설사 측은 부랴부랴 대체 크레인 장비를 공수해 공사를 진행했다.

건설사 관계자는 “정해진 작업량은 있고, 기사들은 파업에 돌입해 추가로 비용을 들여 대체 장비를 구했다”며 “오늘 당장이야 메울 수 있겠지만, 파업이 길어질수록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인근의 또 다른 B 아파트 공사 현장도 상황은 비슷해 타워크레인 3대 중 2대는 기사가 없어 크레인을 이용해야만 하는 고층 작업이 아예 이뤄지지 못했다.

이번 파업에는 동탄2신도시 타워크레인 작업 기사 100여 명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져 관련 건설 업계는 공사 진행에 차질이 빚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한 시공사 관계자는 “동탄 2에서 일하는 타워크레인 기사의 70~80%가 민주노총 소속이다 보니 대부분 현장에서 타워크레인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봐도 된다”며 “하루 작업량도 채우지 못할뿐더러 공사가 늦어지고 추가 비용 발생까지 걱정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인천지역도 이날 건설노조 경인지역본부와 플랜트건설노조 경인지부 노동자 800여 명이 인천시청 미래광장에서 집회를 열었다.

건설노조는 임금체불을 막기 위해 ‘임금 지급보증제’ 정착, 근로자 퇴직공제 가입, 전자카드제 도입, 건설 기능인 양성을 위한 기능학교 설립 등 9개 요구 사항을 시에 건의했다.

시는 건설노조의 요구 사항을 검토한 뒤 지자체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그러나 송도와 청라 등지에 대규모 공사현장이 많지 않은데다 건설노조 조합원만 파업에 참여했기 때문에 건설현장에서 큰 차질은 빚어지지 않았다.

박용준이관주기자 leekj5@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