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광명시의회 파행 장기화 자리싸움에 민생 날샌다

광명시의회가 상임위원회 구성도 못한 채 허송세월만 보내고 있다.

시의회는 최근 의장과 부의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정당 간 불화는 물론 같은 당끼리도 반목하는 등 ‘진흙탕 싸움’으로 얼룩져 가고 있다.

지방선거가 끝난 지 얼마나 지났다고 주민은 안중에도 없이 자리싸움을 하는 것인지 한심하기 짝이 없다.

이로 말미암아 집행부가 제출한 추경안과 조직개편안, 각종 민생 조례안 등은 낮잠을 자고 있고, 시민의 원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광명시의회의 갈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원 구성 때마다 반복돼왔다. 특히 지난 6·4 지방선거가 끝난 뒤 야당 의원이 대거 등원하면서 그 정도가 더욱 심해지는 양상이다.

주민의 대표기관이자 풀뿌리 정치의 근간이 되어야 할 시의회가 그 역할과 책임을 망각한 채 원 구성을 파행으로 몰고 가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고, 기초의회 무용론을 확산시키는 결과만 초래할 뿐이다.

시의원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어떤 행동도 불사하는 ‘패거리 정치’에서 탈피해야 한다. 토론과 협의를 할 수 있는데도 실력행사부터 감행하는 추태를 더는 보여선 안 된다.

시대 변화에 맞춰 기초의회가 해야 할 일이 너무나 많다. 파행을 겪는 광명시의회도 더는 주민을 무시하지 말고, 민의의 대표기관으로 역할과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원 구성 과정에 성실히 임해야 한다.

무엇보다 원 구성 때마다 고질적으로 빚어지는 자리싸움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

민주정치의 기본은 대화와 타협이다. 서로 얼굴 모습이 다르듯이 생각도 다를 수밖에 없다. 서로 다르다는 점을 수용하고, 공통 목적을 위해 의견을 나누고, 좁히고,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노력을 쏟아부어도 타협이 안 될 경우 민주적 절차에 따라 일을 해결할 수밖에 없다. 민주적 절차는 ‘표결’이다.

광명시의회는 이러한 민주적 절차가 있는데도 감투 욕심에 민심을 저버리고 있다. 이러한 시의회에 광명시의 미래를 맡긴 주민들은 암울하기만 하다.

물속에 비친 생선을 문 개가 제모습인 줄 모르고, 뺏을 욕심에 짖다가 가진 생선마저 놓친다는 이솝우화, 이게 바로 광명시의회의 모습이다.

광명=김병화 기자 bh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