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호 희망 인천 만들기] 1. 공조직 효율성 극대화
유정복 인천시장이 ‘희망 인천 만들기’에 나섰다. 인천 시민은 ‘힘 있는 시장’을 통한 변화와 희망을 선택했고, 유 시장은 인천시민의 선택이 현명했음을 하나씩 증명해야 할 차례이다.
유 시장은 당선 직후 “300만 인천시민의 위대한 선택에 감사하고, 그 열망을 절대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고, 인천 시민은 그 다짐을 굳게 믿고 있다. 본보는 유 시장이 ‘힘 있는 시장’을 선택한 인천 시민에게 무엇으로 화답해야 하고, 인천 시민이 바라는 변화와 희망은 무엇인지 3회에 걸쳐 점검해 본다.
인천 시민이 유 시장을 선택한 이유는 ‘힘 있는 시장’이라면 인천 경제를 발전시키고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300만 시민이 탑승한 인천호를 제대로 가동시켜 잘 먹고 잘 살게 해달라는 간단 명료한 주문이다.
인천호가 제대로 움직이려면 공조직 엔진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결국, 공직사회의 안정적인 운영이 유 시장의 성공을 위한 첫 단추가 되는 셈이다.
조직의 효율성은 인재의 적재적소 배치이다. 인천 공직사회는 그동안 인사 폐단으로 조직과 직원 간 갈등이 깊어지고 조직 기능을 상실하는 등 수많은 대가를 치렀다.
유 시장은 이 같은 인천의 인사 폐단을 척결하고 공정 인사 의지를 밝힌데다, 유 시장의 중앙정부 행정 경력이 원활한 인사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그러나 유 시장 취임 이후 인사와 관련된 우려의 목소리가 나타나고 있다. 공직사회 일각에서는 유 시장이 취임 보름이 지나도록 극소수 인사만 시행하면서 조직 안정화가 지연되고 일부 업무 효율성까지 떨어진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공직사회의 조기 안정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장 취임 초기에 인사를 단행하는 것과 대조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인사 담당 부서조차 인사 시기와 규모 등 인사 정보에 대해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비선 중심의 ‘깜깜이 식’ 인사 시스템이라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정치권과 공직사회 일각에서는 특정 지역 출신의 비선 인사가 인천시 인사에 관여하고 있다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다.
물론, 유 시장이 구상 중인 조직개편과 인사가 조화를 이루려면 충분한 검토와 시간, 보안 유지도 필요하다.
그러나 유 시장과 공직사회 간 신뢰가 확보되지 못한다면 조직의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예상 가능한 최소한의 소통 인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공조직의 효율성 극대화는 소통에서부터 시작된다.
유제홍기자 jhyou@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