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개월째 지원금 ‘뚝’ㆍ제2캠퍼스 부지 이전도 ‘하세월’
송도 11ㆍ4 공구 43만여㎡ 이전 시기ㆍ방법 여전히 미정
제물포캠퍼스 부지도 막막 2019년에야 대토ㆍ대물정산 학교 장기계획 수립 안갯속
인천대학교가 인천시로부터 수개월째 지원금을 받지 못해 재정이 악화된 가운데, 시로부터 제2캠퍼스 부지도 넘겨받지 못해 난감해 하고 있다.
인천대가 국립대 법인화에 의해 사실상 자립 경영을 해야 하는 만큼, 캠퍼스 확충 등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가 부지 소유권 정리를 서둘러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일 시와 인천대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립대학법인 전환과 이에 따른 지원 협약 등에 의해 인천시는 인천대에 송도 11공구 33만㎡를 비롯해 송도 4공구 유수지 10만 8천900㎡, 인천전문대 재배치부지(제물포캠퍼스) 22만 1천㎡ 등을 제공키로 했다.
그러나 송도 11공구 부지는 아직 이전 시기나 방법조차 정해지지 않았다.
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재정상황이나 매립상황 등 여건을 고려해 나중에 협의한다는 내부 방침만 정해놨을 뿐이다. 특히 이 땅은 3년 뒤(2017년)까지 R&D 기관 등을 유치할 경우 조성원가에 받을 수 있으나, 정작 땅 매입 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하다.
송도 4공구 유수지는 송도국제도시 방재시설로 사용 중이라는 이유로 ‘추후 협의’라는 애매한 상황이고, 제물포캠퍼스 부지는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이 끝나는 2019년이나 되어야 대토·대물 방식으로 정산받을 수 있다.
이처럼 시가 인천대에 줘야 할 땅을 제때 넘겨주지 않으면서 인천대의 캠퍼스 확충 등 장기 계획 수립이 안갯속이다.
인천대는 수년 전부터 유수지 등에 연구시설이나 병원, 미술·박물관 등을 지을 계획을 마련해 놨지만,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인천대 한 관계자는 “당장은 정부의 출연금과 시의 지원금을 받아 운영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대학 자체 수익사업을 통해 자립 경영을 해야 한다. 학생들의 등록금에만 의존할 순 없다”면서 “장기적인 재정 계획을 위해선 안정적인 자산(땅)을 서둘러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경제청이나 도시공사 등과 협의를 해야 하기에, 당장 쉽게 땅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면서 “인천대의 발전을 위해 지원해준다는 큰 틀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