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2단계 사업안 뒤집기
3단계로 구역 변경안 제시
개항역사공원 1단계 조성
사실상 내년 개방 물건너가
해수부 “확정된 것 아니다”
해양수산부가 인천 내항 항만재개발사업 구역변경안을 제시해 ‘8부두 우선 개방’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최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인천지방해양항만청과 인천항만공사(IPA), 인천시 등 관계기관 회의에서 당초 2단계로 진행할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면적 29만 1천731㎡)을 3단계로 나누는 구역변경안을 제시했다.
구역변경안은 1·8부두 사이에 개항역사공원(11만 4천749㎡)을 1단계로 조성한 뒤 2단계와 3단계로 각각 1부두와 8부두를 개방 및 개발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 같은 해수부의 구역변경안은 당장 내년부터 진행될 8부두 우선 개방 방침을 뒤엎는 것으로 지역주민의 반발을 불러오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해 5월 ‘제1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에 인천 내항 1·8부두를 재개발사업 예정구역에 반영, 단계적(8부두 2015년, 1부두 2017년 이후)으로 시민에게 개방 및 2015년부터 사업에 착수하는 로드맵을 확정 발표했다.
특히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한 규제개혁 토론에서 내항의 한 하역사 대표가 “하역사 이전 대책 없이 내년부터 8부두를 개방하는 것은 기업규제”라고 주장하자, 정부는 이미 내년부터 8부두를 개방키로 한 만큼 ‘원안추진’ 의지를 재차 확인한 것과도 배치된다.
김상은 ㈔내항살리기시민연대 대표는 “지난해 IPA와 하역사 간 부두임대 재계약에 ‘재개발이 시작되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단수조항을 명시했다. 게다가 이미 주민과 관계기관 의견수렴도 끝난 마당에 구역변경은 엄연한 특혜”라며 “분명 기업의 각종 로비가 작용했다. 해피아 색출을 위한 집단 움직임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전략적인 접근이다. 검토 결과 3단계 개발 방식이 교통접근성과 하역사 재배치 등에서 더 유리한 점이 있었다”면서 “특혜도 아니고, 아직 확정된 것도 아니다. 하역사 이전 등 대책 마련이 성과가 없는 상황에서 반발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했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