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 비중 ‘뚝’ 13년만에 최저

전체 대출금의 41.7% 기록

은행의 전체 대출금 가운데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3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은행이 가계에 대출해 준 금액은 481조1천131억원으로 전체 대출 금액의 41.7%를 차지했다. 이는 35.1%를 기록했던 지난 2000년 이후 13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IMF 외환위기 당시였던 지난 1998년 27.7%, 1999년 31.6% 수준에 불과했던 가계 대출 비중은 2000년대 이후 40%대를 회복한 이후 2005년 49.8%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과 미국발 금융위기로 지난 2008년 42%대로 떨어졌고, 2010년 이후 4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40%대 수준마저 위협받게 됐다.

이처럼 가계 대출 비중이 갈수록 줄고 있는 것은 부동산 시장 불황 장기화로 집값이 떨어지면서 집을 담보로 은행에서 빌릴 수 있는 돈이 줄어든데다 주택담보대출을 갚는데 어려움을 겪는 ‘하우스푸어’가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 않다보니 가계가 은행에서 새로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졌다”며 “그렇다보니 은행권 대출을 이용하기 어려워진 고객들 상당수가 제2금융권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