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미분양 공매 불가피” 입주민 “집값 폭락·세금 회피”
고양시 덕이지구 신동아아파트 채권단이 대출금 회수를 목적으로 2천19가구 공매 방침을 정하고 미분양 아파트 20가구 처분에 들어가자 입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23일 입주민과 시행사, 채권단 등에 따르면 8개 채권은행으로 구성된 대주단은 2천960억원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금 회수를 위해 지난 10일과 15일 모두 4차례에 걸쳐 미분양 물량 20가구의 공매를 진행했다. 그러나 공매가 유찰돼 수의계약으로 25%가량 할인된 가격에 아파트를 처분하고 있다.
이에 신동아아파트 입주민 650여명은 지난 22일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집회를 열고 대주단의 헐값 공매 반대와 단지 정상화를 위한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이에 앞서 지난 15일에는 이 사업의 신탁회사인 KB부동산신탁 본사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입주자대표회의 관계자는 “공매로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물론 세금 체납에 따른 압류 처분으로 기반시설 공사를 할 수 없고 토지 등기도 못하게 돼 입주민의 피해가 크다”며 “공매 강행은 1천억원에 달하는 세금을 안 내려는 꼼수로 대주단은 채권 회수에만 혈안이 돼 있다”고 주장했다.
시행사인 드림리츠도 정상화 길이 있는데 대주단은 오로지 채권 회수와 세금납부 기피를 위해 3천300여 가구에 이르는 대단위 아파트 건설사업을 파산으로 몰아가 시행사 파산으로 세금을 회피하려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채권단은 이미 정상화는 어려운 상황이며 시행사의 주장은 터무니없는 억지라는 입장이다.
대주단 관계자는 “PF 대출금 외에 중도 대출금이 6천억원에 달하는 등 총 대출금 규모가 1조원에 육박, 더 이상 사업 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채권 회수를 위해 20가구 공매에 이어 나머지 1천999가구에 대한 공매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주단이 소유권을 가진 공매 대상 아파트는 전체 3천316가구 중 60% 가량인 2천19가구이다.
고양=유제원기자 jwyoo5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