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는 오는 7월1일부터 36개동에 전면 확대시행되는 부천형 복지체계전달을 점검하기 위해 지난 22일 복지동(洞) 시범 동인 춘의동주민센터를 찾아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에 찾은 춘의동은 지난 1일부터 부천형 복지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범 운영 중인 6개동 중 하나이며 복지공무원 1명, 방문간호사 1명, 통합사례관리사 2명이 추가로 배치돼 9명의 복지인력이 일하고 있다.
이날 사회복지과 안정민 과장은 부천의 복지동 사업이 이전과 다른 점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먼저 찾아가 어떤 부분이 필요한지를 자세히 조사해서 DB화하고, 이에 따라 복지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원미1권역 사례회의에 김만수 시장과 복지담당 공무원, 춘의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이 참여해 도움이 필요한 사례를 파악해 어떻게 도울 것인지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난치병을 앓고 있는 한 가족이 사례가 토의 대상이 됐다.
춘의동에 사는 A군은 뇌의 형성 부전으로 인한 희귀난치성 질환 및 두개골 유합증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몇 번의 큰 수술과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경제적 어려움이 많아 병원에도 가지 못 하고 있었다.
참석자들은 회의 끝에 A군 가족을 사례관리 가구로 선정해 담당자를 지정하고, 일주일 안으로 가능한 서비스목록을 만들어 제공하기로 했다.
김만수 시장은 “복지에서 중요한 것은 정확한 사례 파악과 네트워크라고 생각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며 “복지동(洞) 시범사업이 7월1일부터 전체 36개동으로 확대되기 전에 문제점을 미리 찾고 대안을 만드는 것에도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천=김성훈기자 magsai@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