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중 양국 간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서 우리 측에 이례적으로 한미 연합훈련을 자제해 줄 것을 촉구했다.
14일 베이징(北京)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11일 베이징에서 열린 한ㆍ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서 중국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에게 한미 연합훈련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여러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한미훈련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우 대표의 ‘한미훈련 자제’ 요청은 북한의 추가적 도발을 방지하자는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은 “(한미 훈련을) 하지 말라는 톤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우리 측은 이에 대해 이 훈련은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란 논리를 제시하면서 중국 측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6자회담 채널을 통해 한미 연합훈련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것은 이례적인 일로, 중국이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6자회담 재개’에 한미 연합훈련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다.
또 이번 회동에서 중국 측은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사전조치들을 취할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한·미·일의 요구조건이 너무 높아서 ‘문턱’을 낮춰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 내에서는 비핵화 사전조치에 대한 ‘유연성’이 거론되긴 하지만 6자회담이 재개되면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이 이뤄져야 하고 회담 기간 북한 핵무기의 고도화를 차단해야 한다는 두 목표를 실현할 사전조치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여전히 확고하다.
소식통은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사전조치 수준과 관련,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이전에 이뤄진 북미 간 ‘2·29 합의’보다 더 낮은 수준의 사전조치가 이뤄져서는 6자회담 재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 소식통은 또 이번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간 접촉에서 중국 역시 아직은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강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증거는 없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