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취업난 전전’ 대학 ‘돈벌이 錢錢’ 청년실업 ‘졸업 연기’ 눈물… 대학 ‘학적유지 특수’ 미소
청년실업이 심화되면서 취업에 불이익을 받지 않기 위해 ‘대학 5학년’ 신분을 선택, 졸업을 미루는 대학생이 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대학들이 졸업을 유보시켜주는 대신 비용을 받고 있어 학적유지를 빙자해 돈벌이에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9일 인천경기지역 대학 등에 따르면 일부 대학이 졸업요건을 충족한 학생과 수료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일정 금액만 내면 재학생 자격을 유지하는 학적 유지 프로그램을 운영, 신청자가 쇄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학 측은 학적을 유지하려는 학생들이 과목을 수강하지 않는데도 학적 유지 비용 및 학교시설 이용료 형태로 돈을 받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인하대는 학적 유지를 위한 ‘비수강등록제’를 운영하고 있다. 비수강등록생은 지난 2011년 463명, 2012년 647명, 2013년 767명, 올해 현재 605명으로 급증해 연간 수료 대상 학생 1천500명 중 절반가량이 비수강등록을 선택하고 있다. 대학 측은 비수강등록금으로 학기당 과별 등록금의 18분의 1(20만~30만원)을 받고 있다.
가천대는 지난해 531명에 이어 올해 619명의 ‘졸업유보제’를 신청한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당 일률적으로 10만원을 받고 있으며, 경기대도 학적 유지 학생을 대상으로 ‘졸업유보제’ 신청을 받으면서 미수강의 경우 학기당 과별 등록금의 12분의 1을, 수강하는 경우 학점에 따라 6분의 1~2분의 1 가량을 등록금으로 받는다.
이처럼 일부 대학이 학적 유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추가 투자 없이도 10만~30만 원에 이르는 등록금을 받아 ‘학적 장사’를 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이는 실제 수강 등록을 하지 않거나 등록을 하더라도 인턴이나 취업 준비 등으로 수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학교 수입만 늘리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지역 한 대학생은 “아무래도 취업 준비하는데 졸업생보다는 재학생이 나을 것 같아 졸업을 미뤘다”며 “수업을 듣지 않고 재학생 신분을 유지하는 대가로 수십만 원을 내는데 왜 내야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하대 관계자는 “수료나 졸업 신분이 되면 취업에 불리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인지 학적을 유지하려는 학생이 급증했다”며 “등록금은 수업료 형태라기보다 학적 유지 비용이나 학교시설 이용료 형태”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