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그릇 깨진 대출모집인, 결국 손 뻗친 곳이…

칼바람 맞은 대출모집인 ‘대부업行’

개인정보 유출사태 이후 해고자 상당수 유입 ‘불법영업’

비공식 사이트서 모객 ‘대부업 알선’… 관리ㆍ규제 시급

사상 최악의 신용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금융당국이 대출모집인 축소 방침을 내리면서 대출모집인의 3분의 1가량이 계약 해지 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계약 해지된 대출모집인 상당수가 비공식 사이트나 개인 블로그 등을 통해 대부업체 대출을 알선하는 등의 부작용이 속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9일 한국대출상담사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발생한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태로 금융사와 계약이 해지된 대출 모집인은 무려 5천여명에 달한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1만5천여명의 대출모집인이 활동했던 것을 고려할 때, 무려 3분의 1가량의 대출모집인이 해고 조치를 받은 셈이다.

계약해지자 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저축은행업계가 2천300여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신전문금융업계(1천500여명), 보험업계(700여명), 은행권(450여명) 등의 순이었다.

문제는 계약 해지된 대출모집인 상당수가 개인정보의 불법 유통이 판치는 대부업계로 유입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일부 대출모집인들은 계약 해지 사실을 숨긴 채 비공식 사이트나 블로그 등을 통해 대출 알선 행위를 일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취재결과 http://www.aXXXs.kr 사이트의 경우 이미 상호가 변경된 S금융사의 전 이름을 사용해 은행연합회에 소속된 업체인 것처럼 소비자들을 속인 채 대출을 알선하고 있었다. 또 http://www.aXXXk.kr 사이트에 실명을 내건 채 ‘공식대출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는 A씨 역시, 등록되지 않은 대출모집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계약 해지된 대출모집인들의 무분별한 대출 영업이 판을 치고 있지만, 관리 감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의 관리가 미치지 못하는 탓에 금융사와 각 협회 차원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관리 감독이 고작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출모집인들은 대출모집인의 관리, 감독, 제제 등에 관한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이 하루 속히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국대출상담사협회 관계자는 “대출모집인으로 인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관리 감독은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2년째 국회에 계류중인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조속한 통과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대출모집인에 의해 발생하는 대출 비중이 높은 만큼 제도 자체를 폐지하기는 어렵다”며 “무분별 영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