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모와 장애인 아들, 생활고에 목숨 끊어

삶의 낭떠러지 내몰린 ‘외로운 이웃’ 또 스스로 ‘生의 끈’을 놓았다

70대 노모ㆍ40대 장애 아들 생활고 비관 ‘번개탄 자살’

“연락두절” 복지사 신고받고 경찰 출동하니 싸늘한 주검

아들 병세 악화 힘겨운 나날 극단적 선택 안타까움 더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인 70대 노모와 장애를 가진 아들이 생활고를 비관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지난 4일 오후 1시께 인천시 남구 숭의동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김 할머니(70)와 아들(45)이 숨져 있는 것을 연락이 안 된다는 사회복지사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 의해 발견했다.

구청 사회복지사 A씨(37·여)는 “김 할머니 집을 거의 매일 방문했는데, 5일 전부터 휴대전화도 꺼져 있고 문도 잠겨 있어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발견 당시 이들 모자는 작은 방에 마주 본 채 나란히 누워 있었으며, 방에서는 타다 남은 번개탄 2장이 발견됐다. 방문과 창문은 청테이프로 막혀 있었으며, 유서는 없었다.

김 할머니 휴대전화에는 최근 통화기록이나 저장된 번호가 하나도 없었다. 이들은 평소 구청 사회복지사와만 연락했을 뿐 이웃 주민과도 왕래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할머니는 남편과 오래전에 연락이 끊기고 외아들과 함께 살아왔다. 일정한 직업이 없던 김 할머니는 장애를 가진 아들과 함께 한 달 70여만 원의 기초생활수급비에 의존하며 생계를 이어 왔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왜소증이 있는 아들은 지난해 5월 한쪽 눈의 시력마저 안 좋아져 시각장애 6급 판정까지 받았다.

시력이 나빠진 아들 탓인지 김 할머니는 어느덧 집 밖으로 나오는 경우가 드물어졌고, 지난해 5월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 20만 원에 세들어 살던 보금자리의 월세는 밀려만 같다. 김 할머니와 아들은 결국 하지 말아야 할 선택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 이웃 주민은 “나도 이사 온 지 얼마 안 됐지만, 마주친 적도 없어 얼굴을 모르고 지냈다”며 안타까워했다.

경찰은 모자의 시신에 외상이 없고, 번개탄이 발견된 점으로 미뤄 생활고를 겪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고 시신을 유가족에게 인계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