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에 지난달 31일 추락한 무인항공기가 북한에서 출발해 소청·대청도를 거친 뒤 연료부족으로 백령도에 추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3일 “백령도에서 추락한 무인기는 소청·대청도 전체를 ‘S’자로 훑으면서 사진촬영을 했다. 소청·대청에는 군사시설이 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이 무인기가 서해5도를 정찰하고자 비행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당시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사격훈련이 있었던 만큼, 포탄의 탄착군을 확인하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무인기가 소청도와 대청도를 떠난 시간은 각각 북한의 사격훈련이 한창이던 31일 오후 2시22분, 오후 2시47분이었으며, 백령도에 도착한 시간은 오후 3시 이후로 짐작되고 있다.
당시 백령도 해병부대가 레이더에 포착된 정체불명의 비행체로 벌컨포를 발사한 시각은 낮 12시40분인 만큼, 정체불명의 비행체는 이번 무인기와는 관련 없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군 당국은 이 무인기가 백령도에 도착하자마자 연료부족으로 추락해 사진촬영을 할 수 없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무인기에는 일본제 카메라(니콘 D800 DSLR)가 장착됐으며, 4기통 엔진을 갖춘 채 1.4㎞ 고도를 100~120㎞ 속도로 비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기체 표면은 레이더에 잘 잡히지 않는 유리섬유 재질이었으며, GPS 안테나 2개로 비행경로를 조종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비행자료 송수신기를 탑재하고 있었으나, 실시간 영상 전송 능력은 없었다”며 “영상전송 능력이 없는 메모리 카드 회수용”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지난달 24일 경기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의 추락원인은 엔진고장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백령도에서 추락한 무인기는 연료부족으로 엔진이 정지됐고, 낙하산이 펴지지 않았다”며 “파주에 떨어진 무인기는 엔진고장으로 떨어지면서 낙하산이 펴졌다”고 설명했다.
해당 무인기는 경기 북부와 서울 상공에서 193장의 사진을 촬영했으며, 역시 실시간 전송능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기체에 우리 국민의 지문이 아닌 것을 몇 개 확인했다”며 “북한의 소행이라고 명확하게 판정되면 불법 영공침해로, 우리 정부는 물론 국제적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