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청장 후보 적합도 조사 ‘1번후보’ 배치따라 정반대 결과 특정후보 홍보에 악용우려 제기
6·4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여론 파악 수단으로 사용하는 여론조사가 자칫 특정 후보 홍보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새누리당 조용균 예비후보는 여론조사기관 윈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2~23일 부평 주민 1천33명을 조사한 여론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자동전화응답 조사법으로 진행된 이 여론조사(표본오차 ±3.05%, 응답률 3.91%)에서 ‘어느 인물이 새누리당 부평구청장 후보로 적합한가’란 질문에 29%가 보기 1번 조 예비후보를 선택했다.
보기 2번 오태석 예비후보는 8.35%, 보기 3번 박윤배 예비후보는 15.98%가 선택해 조 예비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도를 얻었다.
그러나 불과 일주일 전인 17일 박 예비후보가 발표한 조사 결과는 똑같은 질문을 던졌음에도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박 예비후보가 한국인텔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5일 부평 주민 1천17명을 같은 방식으로 조사한 여론조사(표본오차 ±3.1%, 응답률 2.1%)에서 보기 1번의 박 예비후보는 다른 예비후보에 2배 가까이 앞섰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전화로 이뤄지는 조사 특성상 보기 1번에 어떤 후보를 배치하느냐에 따라 정반대의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조사 시간, 조사 표본의 성별 및 지역 특성, 여론조사전문기관 성향 등에 따라 조사결과가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며 여론조사의 ‘맹점’을 제기했다.
이에 후보발 여론조사가 여론의 바로미터가 아닌 자화자찬식 홍보 도구로만 쓰일 수 있다는 우려가 일면서 유권자와 출마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질문 순서에 따른 왜곡을 막으려면 보기 순서를 바꾸는 등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며 “응답률이 낮아 보정하는 과정에서 자칫 특정 결과를 유도하기 위해 악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