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생활권 단절ㆍ식수오염등 우려 ‘대책상황실’ 운영… 시민단체들, 서명운동 벌이기로
김만수 부천시장은 지난 14일 동부천 IC 인근 부천식물원에 마련된 대책상황실에서 첫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광명~서울고속도로 동부천 IC 신설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광명~서울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인가 신청일이 오는 27일로 다가옴에 따라 시와 시민단체들의 동부천 IC 건설 반대 뜻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다.
광명~서울고속도로는 광명시 가학동에서 서울시 강서구 방화동의 올림픽대로를 잇는 20.2㎞의 고속도로로 천안∼평택∼수원∼광명∼서울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 사업이다.
당초 이 도로는 부천시와 서울시의 경계를 지나는 구간으로 계획됐으나 통행료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 지난 2008년 광명∼서울고속도로 중 일부 노선이 변경되고 여기에 동부천 IC를 설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시는 시민의 생활권 단절과 식수 오염 등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사업에 대한 재검토와 전면적인 사업 수정을 국토교통부에 요구했었다.
이들은 오는 25일까지 시민들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운동본부는 서명부를 오는 26일 국토교통부에 제출해 시민들의 동부천 나들목 설치 반대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다.
이들 단체는 이날까지 시청 주변에 천막을 설치하고 반대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김만수 부천시장은 “동부천 IC가 들어설 때 예상되는 작동산과 식물원 및 수목원의 환경훼손, 정수장 오염물질 유입, 길주로 교통체증 등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심도있게 검토하겠다”라며 “이를 토대로 실시계획인가 신청 전에 중앙정부와 협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천=김종구기자 highto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