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선거판… 불 붙는 네거티브

부채 급증 “네 탓이오”· “송 시장 측근비리” 언급 등 공방전
정의당은 ‘인천현안 해결’ 정책적 해법제시 차별화로 ‘눈길’

6·4 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인천지역 정가에 벌써부터 네거티브 공방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선거가 진흙탕 싸움으로 번지면 공약이나 정책선거가 실종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이학재 국회의원(새·인천 서구강화 갑)은 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송영길 인천시장은 인천을 공무원 월급도 못 주는 부도도시로 만들었다”며 “측근인 전 비서실장이 공사 인허가 대가로 5억 원을 받아 구속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또 “인천시가 시민의 혈세로 시정여론조사를 하면서 불법적인 유권자 정치성향을 조사한 것으로 확인돼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경고조치를 받기도 했다”며 “불법 여론조사에 예산 2억 6천만 원을 쓰고 설문에 동원된 시민만 8만 명이 넘는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의 안상수 전 인천시장도 가세했다. 안 전 시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인천시선관위의 경고를 받은 시정여론조사는 명백히 불법 사전운동”이라며 “의견수렴이라는 위장술로 특정 후보를 띄우는 여론조사를 한 것은 정치적 막장”이라고 비난했다.

이처럼 인천지역 정가에 비난 여론이 이는 가운데 일부 내용은 확대·왜곡된 것으로 알려졌다.

공무원 임금 미지급과 관련해 인천시는 재정난을 이유로 지난 2012~2013년 사이 두 차례 공무원 급여 중 복리후생비를 3~8일가량 미뤄 지급한 적이 있다. 선거를 앞두고 공방전이 과열되면서 시가 공무원 월급을 못 준 것으로 일부 과장된 비판이 제기됐다.

또 인천시선관위는 시정여론조사에서 정치적 질의내용이 일부 포함된 것을 문제 삼아 ‘경고’ 조치했으나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았고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지 않은 점은 감안해 ‘검찰고발’이 아닌 ‘경고’ 수준에서 마무리했다.

반면 정의당은 같은 날 인천의 현안을 풀어낼 정책적 해법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해 차별성을 보였다. 정의당은 인천시의회에서 ‘경청 토론회’를 열고 지역 전문가의 입을 빌려 재정 분권과 사회적 경제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인천매니페스토추진위원회 관계자는 “지금은 지역 정치인들이 인천과 인천시민에게 필요한 아젠다를 고민하고 필요한 공약이나 정책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중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