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 여성 취업 확대'
경력단절 여성의 공공기관 채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제도가 도입된다.
민간부문에서 경력단절 여성 채용 바람이 부는 가운데 정부가 경력단절 여성 채용을 위한 공공기관에서의 구체적인 계획안을 마련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7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4년도 공공기관 인력운영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
우선 경력단절 여성의 고용 확대를 위해 채용목표 비율을 기관이 자체적으로 설정하면, 그 이행실적에 따라 경영평가에 가점을 부여한다.
공공기관을 퇴사한 여성인력에 관한 정보는 ‘정부 3.0’과 연계한 통합인재뱅크에 등록해 공공기관끼리 공유하도록 했다.
또한, 성공사례로 평가받는 ‘CJ 리턴십’ 등 민간의 여성 재취업자 채용 프로그램을 참고해 공공기관도 올해부터 ‘리턴십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키로 했다.
육아휴직 등에 따른 결원은 경력단절 여성으로 대체하도록 권고하고, 대체인력이 정규직으로 채용될 수 있도록 초과 현원 해소기간은 현행 3개월에서 1년으로 늘린다.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기 위한 ‘장치’도 도입된다.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 대상기관 68곳 중 현재 시설이 없는 20개 기관에는 원인분석과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해 2017년까지 어린이집 설치를 유도키로 했다.
여성의 관리자 승진 소요 기간도 단축해 직장 내에서 여성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키로 했다. 각 기관은 오는 2017년까지 실정에 맞춰 부서장급 이상 여성관리자 확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경영평가를 통해 적극적인 이행을 유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