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특성화 ‘그림의 떡’… 정부 외면한 ‘국립 인천대’ 사면초가

지원은 없고 ‘대학평가 정원 감축’ 서슬퍼런 칼날

인천대학교가 국립대임에도 정부로부터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5일 인천대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날 대학 구조개혁과 연계해 지방대 특성화 사업으로 연간 2천31억 원씩 오는 2018년까지 1조 원 이상을 지방대 육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앞서 교육부는 대학에 대한 학교 운영 등 전반적인 평가를 통해 4년제 대학 정원 2만 5천300명을 강제 감축하는 내용의 대학 구조개혁안을 내놨다.

이를 놓고 ‘정부가 인천대를 국립대로만 만들어 놨을 뿐, 홀대하고 있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다.

지방대에 5년간 1조 원이 넘는 돈을 지원하면서도, 경기·인천의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엔 고작 연간 204억 원만 지원하기 때문이다. 또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비도 인천대가 경기지역의 수많은 대학과 경쟁해 지원받을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천대엔 지방대 특성화 사업비가 ‘남의 떡’에 불과하고, 수도권 대학 특성화 사업비도 지원받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올해 말과 내년 말에 이뤄질 정부의 대학 평가도 인천대엔 크게 불리해 자칫 무더기 정원 감축마저 우려되고 있다.

인천대의 재학생 수는 8천여 명이었으나 지난 2009년 인천전문대와 통합한 이후 1만여 명을 넘으면서 전국 대학 평가 시 1만 명 이상의 대학과 비교·경쟁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대는 통합 후 재학생 수가 급증해 취업률이나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등의 지표가 급격히 떨어져 각종 평가에서 상대적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또 국립대로 전환되면서 국비·시비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적자 운영이 예상되는 등 재정상태가 악화한 점도 평가에서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대는 현재 2천680명인 입학정원을 올 연말 평가에서 우수등급을 받으면 120명가량을 줄여야 하고, 보통 등급 이하면 더욱 많은 정원을 매년 줄일 수밖에 없다.

인천대 관계자는 “국립대인데도 지원을 못 받고, 수도권 대학이라는 이유로 지원이 안 되는 등 이래저래 홀대다”면서 “정부 평가 시 인천대는 특례편입학 학생의 취업률이나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등의 지표를 제외해달라고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