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그림 완성됐지만…
인천 내항 1·8 부두 재개발 사업의 토지이용계획 등 밑그림이 완성됐지만, 주변 지역과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인천 내항 재개발 사업계획 수립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범위 등의 결정내용’을 5일 공고하고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인천 내항 1·8 부두(25만 7천318㎡)의 20.1%(5만 3천998㎡)에 다목적 행사장·소규모 상가 및 푸드코트·카페테리아·키즈랜드·소호 갤러리 및 공방 등을 유치하고, 나머지 79.1%(20만 3천320㎡) 공간에는 주차장·운동장·공원(가칭)·녹지·도로 등 공공시설로 활용하는 것이 계획의 골자다.
중심부에 대규모 공원을 조성한 뒤 공원 양쪽으로 시설을 배분하는 특성을 지닌 이번 선정 안은 문화공간과 상업공간이 조화롭고, 단계별 사업 추진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해수부가 최근 진행한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에서 토지이용 구상안에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이혜경 위원(인천환경연합 사무처장)은 “1·8 부두 주변 지역의 상생, 역사 문화콘텐츠, 단절된 접근환경 연결에 대한 모습은 구상 안에 보이지 않는다”며 “부두와 시내를 잇는 2개의 보행 육교를 아트플랫폼~인천개항누리길~차이나타운까지 연결하는 문화·역사 상징의 다리로 구상하는 등 과감한 제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광용 위원(해수부 해양보전과 사무관)과 김기용 위원(환경부 국토환경평가과 주무관)도 신포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과 잘 어울릴 수 있는 특화전략 강화, 인접 도심지(차이나타운, 자유공원 등) 연계를 각각 주문했다.
이와 관련, 해수부 관계자는 “주민을 위한 친수·문화공간을 확보하는 게 사업의 주목적인 만큼 주민 의견수렴 및 지자체 협의를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