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식량안보 기여 “경기농업 가치 7조5천억”

도농기원, 공익적 가치 분석

경기도 농업이 갖는 공익적 가치가 약 7조5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서울·경기·인천 거주자 600명을 대상으로 ‘경기농업 공익적 가치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가상가치평가법(CVM)과 대체비용법(RCM)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경기농업 공익적 가치는 7조5천억원으로, 이는 경기도 GRDP(지역내총생산)의 3.1%, 도 농림어업 총생산액의 약 1.5배에 달한다. 만 19세 이상 수도권 주민 1천995만7천명이 1인당 연간 33만9천원의 가치를 누리는 셈이다.

기능별 평가액은 환경보전기능이 57.7%(4조3천억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식량안보기능 17.7%(1조3천억원), 도시 사회문제 완화 기능 14.2%(1조700억원), 균형적 경제발전 기능 10.4%(7천8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보전기능 중 이산화탄소 연간 순 흡수량은 207만3천t으로, 이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약 0.3%에 해당된다. 지구온난화로 더워지는 도시를 냉방시키는 증발산 효과도 약 4억5천t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양과 치유, 주거, 교육 등 도시문제를 완화시키는 기능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양 및 여가공간 제공의 비중이 30%로 가장 높았고, 인구과밀 및 주거문제의 완화 15.6%, 치유(힐링) 및 건강기능제고 13.3% 순이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이진홍 연구사는 “광역 자치단체 단위에서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분석한 것은 경기도가 처음”이라며 “농업을 단순 생산기능으로 보는 인식을 극복하고, 다원적 기능 면에서 더 중요한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국민적 공감대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