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하수처리시설 설치
“당연히 있는 줄 알았는데, 왜 내 돈을 들여 하수처리장을 만들어야 합니까.”
A씨(50·여)는 1년여 전 인천시 옹진군 자월도에 3천㎡의 토지를 사들여 팬션을 지었다.
하지만, 마을에 공공 하수처리장이 없어 법에 따라 자부담으로 개인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등 생각하지도 못한 지출이 발생했다.
추가로 정화조를 사 배로 운반하고 설치하는 데 든 돈이 무려 1천여만 원.
A씨는 “1천만 원이면 팬션 외관을 더 예쁘게 꾸밀 수 있었을 것”이라며 “당연히 있어야 할 기반시설이 없을지는 꿈에도 몰랐다”고 하소연했다.
옹진군 내 공공하수처리 시설이 부족해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2일 군에 따르면 인천시내 하수도보급률이 90% 이상을 보이는 가운데 옹진군은 26.1%로 전국 최하위권이다.
이마저도 백령면 진촌리에 하루 500t의 하수를 처리하는 대형 시설이 있을 뿐, 나머지 7곳(대청·소청·연평·장봉·자월·서포리)의 시설은 소규모 마을 하수처리시설에 불과하다.
반면 2009년 개정된 하수도법은 공공 하수처리 시설이 없는 지역에 주택 건축 시 개인이 자부담으로 하수처리 시설을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어 주민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개인 하수처리시설은 미생물 등을 이용해 분해하는 시스템을 적용, 이에 따른 전기사용료와 오수처리시설 및 정화조 내부청소비용 등도 고스란히 주민들이 부담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기 가동을 멈춘 채 오물을 그대로 바다에 흘려보내다 적발되는 주민이 잇따르는 등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김기순 옹진군의회 부의장은 “하수도 보급률이 20%대에 불과해 해양환경 파괴 등 여러 부작용이 생기고 있다”며 “주거환경에 기본적인 시설인 만큼, 지자체가 책임지고 공공시설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옹진군 관계자는 “섬 지역 특성상 하수관로를 매설하는데 제약이 많고, 비용도 군 자체적으로 하기엔 무리가 있다”며 “전국단위 상하수도 보급계획이 갖춰진 만큼, 정부의 예산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머지않아 보급률을 80%대까지 높이겠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