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마을기업 고용의 질, 사회적기업보다 높아”

지속가능성 높이기 위해

경기도에 활동 중인 협동조합과 마을기업의 고용 수준이 사회적 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경기개발연구원은 ‘경기도 사회적경제 실태와 정책방향’을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경영과 지역사회 기여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경기도의 지원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현재 도내에는 협동조합 366개, 인증사회적기업 131개, 예비사회적기업 240개, 마을기업 148개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 중에서 161개를 무작위로 선정해 활동실태를 조사했다.

조사대상 사회적경제조직의 평균 고용인원은 22.4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제조업은 17.2명, 사회서비스업은 20.5명, 기타서비스업은 27.5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정규직 근로자는 평균 9.3명으로 전체 유급 근로자의 약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유형별 정규직 비율은 인증사회적기업 28.0%, 예비사회적기업 47.8%, 사회적협동조합 53.8%, 일반협동조합 70.4%, 마을기업 58.8%의 순으로 나타나 협동조합과 마을기업의 고용의 질이 사회적 기업보다 높았다.

또 도내 사회적경제조직의 주요 상품ㆍ서비스 판매지역은 경기도 전역이 전체의 39.8%로 가장 많았고 소재 시ㆍ군지역 24.8%, 서울 및 수도권 전역 24.8%로 전체의 3분의 2가량이 경기도 주민들만을 대상으로 사업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업활동으로 얻는 수익금의 사용처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46.0%가 기업경영에 다시 재투자한다고 응답했다.

이밖에 사회적 경제조직의 경영능력에 대한 구성원의 자체 평가 결과,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의 사회적 목적에 대한 비전 수립, 직원의 경영 의사결정 참여 부문에서 6점 만점에 각각 평균 4.8점, 4.5점을 기록한 반면 직원의 급여대우에서의 경쟁력, 마케팅 능력에서 각각 평균 3.19점과 3.22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최석현 연구위원은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경기도의 경영컨설팅 프로그램 강화, 사회적경제조직의 안정적인 시장 확보, 금융ㆍ전문 인력지원 강화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휘모기자 return778@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