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평생학습 프로그램과
인천지역 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려면 ‘작은 도서관’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큰 도서관’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7일 인천지역 도서관 현황을 살펴보면 공공도서관이 46곳, 작은 도서관이 186곳이다.
지역 곳곳에 공공도서관을 만들기 어렵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작은 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하지만, 작은 도서관조차 지역별 편차가 크다. 인구 50만 명이 넘는 남동구와 부평구는 47곳, 41곳이다. 그러나 인구가 비슷한 서구는 36곳으로 비교적 적고 인구가 34만 명인 계양구는 17곳밖에 안 된다. 연수구(30만 명)가 29곳, 남구(41만 명)가 30곳이나 되는 것과 비교하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장서보유량 차이도 크다. 작은 도서관 중 장서량이 1만 권을 넘는 곳(2012년 말 기준)은 21곳(11.2%) 뿐이다. 남동구 H 도서관은 장서량이 4만 4천450권이나 되지만 남구 S 도서관, 연수구 W 도서관, 남동구 G 도서관 등은 1천 권을 겨우 넘는 정도다.
작은 도서관 40여 곳은 책도 적고 관리인력도 부족하다 보니 관외대출을 하지 않는다. 대출 현황을 수기로 작성하면서 관리하는 곳도 적지 않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도서관 하루 이용객이 2~3명에 불과하거나 많아야 10~30명 선에 그치고 있다. 불과 5~6개 도서관만 하루 이용객이 100명을 넘는다.
운영시간도 중구난방이다. 직장인이나 학생이 편히 이용할 수 있도록 토~일요일 운영을 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만 운영하거나 오후에만 3~4시간 운영하는 곳도 있다. 이처럼 작은 도서관이 제각각 운영하는 것은 설립 주체의 역량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인천시와 군·구가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예산규모가 3억 8천만 원밖에 되지 않는다. 도서관당 200만 원도 채 안 되는 돈이다. 그나마도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작은 도서관(90여 개)만 지원받고 있다.
인천시는 올해 5억 1천800만 원을 투입, 순환사서제도를 시작하고 작은 도서관에 전문인력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일주일에 하루 정도만 지원받을 수 있는 규모여서 실질적인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작은 도서관을 통합적으로 관리·지원할 지원센터 마련, 장서보유량 확대, 독서프로그램 개발·지원 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신선희 인천작은도서관협의회 회장은 “작은 도서관은 단순한 도서관이 아닌 공부방이나 돌보미 등 지역주민의 공동체 공간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며 “지자체의 평생학습 프로그램과 작은 도서관을 연계한다면 지역주민과의 밀착도를 높여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작은 도서관의 역량 편차가 크다 보니 집중과 선택을 할지 평준화 정책을 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올해는 공공도서관을 거점도서관으로 정하고 작은 도서관과 연계사업을 펴는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김민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