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창조적 녹지정책’ 잔디밭을 숲으로 새단장

산림 지피식물 등 도입 관리비↓ㆍ환경↑ ‘효과’

수원시가 기존의 잔디중심 녹지를 대체하는 지속가능한 생태녹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20일 시는 현재 조성된 도시공원과 시설녹지, 중앙분리대 등의 녹지는 잔디중심이어서 집중적 관리가 필요하며 생태적으로 취약해 녹지로써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고 판단, 이를 대체할 생태녹지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다층구조(multilayer) 숲 형태 녹지 조성 △잔디중심 지피식물 대신 산림 지피식물 도입 △녹지 구조변경을 통해 관리유지비 3분의1 이하 수준으로 절감 △무농약 생물다양성 확보 등의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하는 생태녹지는 잔디 도입을 최소화하고 다층구조(multilayer)의 천연 숲을 모델로 하는 녹지로, 관리비 절감은 물론 생물서식처 기능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또 잔디녹지 관리비의 30% 수준으로 유지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하수 유입을 촉진해 도시홍수 예방은 물론 녹지 내 수목의 생육을 건전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시는 장안구 정자동 지구단위계획 구역에 3만㎡의 생태녹지를 시범조성, 완충녹지와 연결녹지를 조성하고 시범지 주변 산림 분석을 통해 자생종 등의 수목을 다층구조로 식재했다.

여기에 녹지 내 빗물의 지하수 유입 촉진을 위해 유공관과 침투시설을 설치하고, 빗물의 저류기능과 녹지의 생태성을 높이기 위해 곤충호텔과 다공질의 돌무덤 등 생물서식처를 도입했다.

시 관계자는 “생태녹지를 비롯한 다양한 녹지모델 조성을 통해 녹지의 생태성은 높이고 관리비는 절감하는 창조적 녹지정책을 지속적으로 개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