區, 민간사업자 또 유찰 표류 장기화 우려 현실로
덮개공원 면적 축소에도 공모 찬바람 백약이 무효
부동산 한파 예측 실패
인천시와 연수구,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이 공동 추진하던 연수·원인재역 주변 복합도시개발사업이 또다시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해 무산위기에 처했다.
애초 사업 초기부터 제기된 ‘부동산 경기 장기 침체로 인해 사업성이 떨어져 다른 곳의 민자 개발사업처럼 지연·무산되는 사례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화된 것으로, 시와 구의 무리한 사업 추진이 도마 위에 올랐다.
14일 연수구에 따르면 시와 구, 철도시설공단 등은 오는 2018년까지 연수구 연수동 589번지 일대 15만 7천274.9㎡ 부지에 798세대 아파트·오피스텔, 도심 커뮤니티, 철도 상부의 덮개공원 등을 조성하는 연수·원인재 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9월부터 연말까지 진행된 3차 민간사업자 공모 결과 또다시 유찰됐다. 이번 공모에 2~3개 업체가 관심만 보였을 뿐, 아무도 신청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 2012년 10월과 지난해 4월에 시행된 1·2차 민간제안 공모에서도 아무도 신청하지 않아 모두 유찰됐다.
또 3차 공모에선 철도시설공단이 사업시행자에서 빠지고 시와 구만 사업공모를 추진했다.
철도시설공단 측은 내부 검토결과 시와 구가 덮개공원 등을 사업에 포함해 사업비가 4천억 원대로 늘어난데다 분양성이 떨어져 사업성은 낮고, 주변 상권과의 형평성 문제 때문에 민간사업자가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 이번 재공모에서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공모 때마다 덮개공원 면적을 줄여주는 등 사업성을 올렸음에도 민간사업자가 외면하는 등 철도시설공단의 예측이 맞아떨어졌다.
이 때문에 시와 구가 부동산 경기 하락에 따른 주거·상업시설의 분양성이나 주변 상권 분석 등을 제대로 하지 않고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시와 구는 땅만 제공하고, 덮개공원 설치 후 수익용지 소유권을 민간사업자에게 넘겨주는 형태의 사업구조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구 관계자는 “수인선 연수역사 이전으로 생긴 고질적인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선 덮개공원 등의 사업을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면서 “시와 사업 추진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