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접대비, 7조원 육박
우리나라 기업들이 한 해 동안 지출하는 접대비 규모가 7조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접대비는 기업들이 영업활동을 하면서 거래처 등을 상대로 접대, 교제, 사례 등의 명목으로 지출하는 금전 비용이나 물품을 뜻한다.
14일 재벌닷컴이 한국은행과 통계청·중소기업청이 집계한 기업실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기업들이 접대비 명목으로 쓴 비용은 모두 6조 6천억 원에 달했다.
이는 종업원 1명 이상인 국내 기업 360만 2천476개사가 같은 기간 올린 연간 매출액 3천450조 8천억 원의 0.19%에 해당한다.
국내 기업들의 연간 접대비는 지난 2009년 5조 6천억 원에서 2010년 6조 1천억 원으로 증가해 처음 6조 원대에 진입했다. 이후 2011년 6조 4천억 원, 2012년 6조 6천억 원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특히 중소기업의 접대비 부담이 대기업보다 5배나 컸다. 대기업의 매출 대비 접대비 비율은 2009년과 2010년 0.09%에서 2011년과 2012년 0.08%이었지만, 중소기업의 접대비 비율은 2009년 0.43%, 2010년 0.41%, 2011년 0.4%, 2012년 0.41%로 대기업보다 평균 5배 높았다.
이는 시장 경쟁구도에서 대부분 ‘을(乙)’의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이 일감을 수주하고자 대기업보다 더 많은 접대비를 지출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접대비 규모도 대기업이 2009년 1조 5천억 원, 2010년 1조 6천억 원, 2010년 1조 7천억 원, 2012년 1조 8천억 원인 데 비해, 중소기업은 2009년 4조 1천억 원, 2010년 4조 4천억 원, 2011년 4조 7천억 원, 2012년 4조 8천억 원으로 배 이상 많았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높은 접대비 부담은 판매관리비(판관비) 상승으로 직결되면서 결국 중소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 2012년 기준 대기업은 영업이익률이 평균 4.7%를 기록했으나, 중소기업은 영업이익률이 평균 3%에 그쳤다.
■비제조업, 제조업보다 접대비 80% 이상 많아
접대비 규모도 비제조업이 많았다. 제조업의 접대비는 2009년 2조 원, 2010년 2조 2천억 원, 2011년과 2012년 2조 4천억 원인 데 비해, 비제조업은 2009년 3조 6천억 원, 2010년 3조 8천억 원, 2011년 4조 1천억 원, 2012년 4조 2천억 원으로 평균 80% 이상 많았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