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이 57억2천만 달러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당초 지난해 수출액이 2012년보다 6.4% 증가한 60억 달러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엔저에 따른 대일 수출 감소, 유럽 경기 회복 지연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1.4% 증가에 그쳤다고 12일 밝혔다.
신선농식품 수출은 전년보다 9.4% 증가해 3년 연속 9% 이상의 증가세를 유지했다. 딸기 수출액은 전년보다 23% 증가한 2천98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버섯 수출액도 14% 증가한 3천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가공식품 수출은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우유(133%), 조제분유(23%) 등 유제품은 20% 이상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홍콩(28.7%), 아세안(19%), 미국(10.5%), 중국(4.6%), 대만(4.1%) 수출은 증가했으나 일본(-8.6%), EU(-4.6%) 수출은 감소했다. 홍콩 수출은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모두 호황을 누렸다. 미국 역시 라면 등의 FTA 관세 인하 혜택 등으로 1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일본 시장에서는 엔저 현상과 일본 정부의 양적 완화 정책 등의 여파로 수출이 크게 감소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