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판매 유발 ‘은행 대출모집인’ 사라지나

금융당국, 제도폐지 검토… 저축銀·대부업 등 집중 단속

‘불완전 판매’를 유발하던 은행의 대출 모집인이 올해안으로 사라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대출모집인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에 나서면서 시중은행들이 대출모집인 제도를 아예 폐지하거나, 대출모집인의 자사 사업부 편입 등을 통해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의 지도 점검 강화로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지난해 9월,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은 10월부터 대출모집인을 통한 신용대출을 전격 중단했으며, 하나은행도 대출모집인을 쓰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전북은행, 경남은행 등 지방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한국씨티은행 등 외국계은행에 대해서도 대출모집인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내부 유휴 인력을 활용해 대출업무를 시행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같은 조치는 은행이 자사 직원에게 대출업무를 맡기지 않고 대출모집인을 통해 고객을 유치하면서 대출금리가 높아지고 불완전 판매에 따른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한국SC은행과 한국씨티은행에서는 대출모집인을 통해 고객 대출정보 13만여건이 유출되는 일이 발생해 파문이 일기도 했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은행 뿐만 아니라 보험, 저축은행, 캐피탈, 대부업 등의 대출모집인의 불건전 영업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단속할 계획이다. 점검 대상은 대출모집 수수료가 5%이내로 제한된 대부업 대출모집인의 영업 행위, 불법대출중개수수료 편취 등이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