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혁신 3개년 계획’ 성공… 국민소득 4만불시대 넘볼 것”

朴 대통령 신년기자회견, 집권 2년 국정구상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우리 경제의 혁신과 재도약을 위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세우고 성공적으로 이끌어서 국민행복시대를 열어갈 것”이라며 집권 2년차 국정구상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추 첫 신년 기자회견을 열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3대 추진 전략을 중심으로 실천해 갈 것”이라며 3대 추진 전략으로 △비정상의 정상화를 통한 경제 기초 확립 △창조경제를 통한 역동적인 혁신경제 △내수 활성화를 꼽았다.

박 대통령은 비정상적 관행의 정상화와 관련, “먼저 공공부문 개혁부터 시작해 나갈 것”이라며 “지금 공공기관의 부채는 국가부채보다 많아서 일부 공기업들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충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기업만의 잘못이 아니라 정부정책을 떠맡아서 부채가 늘어난 부분도 있지만 공기업 자체의 방만ㆍ편법 경영도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이번 철도개혁을 시작으로 올해 공공부문의 정상화 개혁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조경제를 통한 역동적인 혁신경제 확립에 대해서는 “온라인 창조경제타운을 오프라인 현장에서 구현하겠다”면서 전국 17개 광역시ㆍ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하는 한편 벤처기업과 중소기업, 대기업, 정부가 함께하는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발족을 약속했다.

공공부문 개혁 본격

철도개혁 시작으로 올해 방만ㆍ편법경영 정상화 착수

창조경제 통한 혁신경제

전국에 창조경제혁신센터 설치 민ㆍ관합동 ‘경제추진단’ 발족

내수 활성화

기존 제조업 중심 수출 탈피 보건ㆍ관광등 5대 유망산업 육성

박 대통령은 아울러 “기존 산업에 신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것도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역설하며 농업과 문화 등 기존산업에 과학기술과 ICT를 융합해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 내는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와 에너지 환경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것을 다짐했다.

또한 내수 활성화와 관련, 박 대통령은 “기존의 제조업 중심의 수출만으로는 일자리 창출이 어렵고 내수가 살아나지 않는다는 것이 자명해졌다”며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 △보건ㆍ의료, 교육, 관광, 금융, 소프트웨어 등 5대 유망 서비스산업 집중 육성 등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3년 후 우리 경제의 모습은 잠재성장률이 4% 수준으로 높아지고 1인당 국민소득은 3만달러을 넘어 4만달러 시대를 바라보게 될 것이며 고용률 70% 달성에 청년, 여성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