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신년구상 내용과 향후 전망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오는 6일 신년기자회견을 갖기로 함에 따라 새해 구상과 관련해 내놓을 메시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번 기자회견은 집권 2년차 국정운영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자리일 뿐만 아니라 임기 중·후반을 관통할 국정비전과 철학을 언론을 통해 국민에게 직접 공개한다는 의미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집권 1년차에 경제부흥·국민행복·문화융성·평화통일기반구축이라는 4대 국정기조의 밑그림 그리기에 집중한 만큼 올해부터는 구체화된 성과 도출에 매진하겠다는 각오의 메시지를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내놓을 신년구상은 경제활성화를 비롯한 확고한 안보태세 확립, 비정상의 정상의 내용을 토대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박 대통령이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은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할지 관심이다.
또 창조경제를 뿌리 내려 제2의 경제부흥을 이루고 청년층과 여성층의 일자리 창출에도 매진하겠다고 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우리 사회 곳곳의 잘못된 관행들과 비리, 부정부패 등 비정상의 정상화 의지 역시 이번 기자회견의 주된 내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을 망라한 비정상적인 기득권 내려놓기, 잘못된 관행을 뿌리 뽑기 위한 법과 제도 개선, 시민의식의 함양 등 보다 구체적이고 강력한 정상화 실천의지를 밝힐 전망이다.
정상화 작업의 연장선에서 공공부문에 대한 강력한 개혁 의지도 천명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성과급 잔치, 과도한 임원 보수 등 방만경영을 일삼은 공기업에 대한 개혁작업을 임기 내내 지속 추진할 과제로 보고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한반도 안보 상황과 관련해서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천명하고 개성공단 재가동과 이산가족 상봉 등을 통한 남북관계의 실질적 정상화를 도모하겠다는 뜻도 내놓을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북남사이에 관계개선을 위한 분위기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호응을 촉구한데 대해 박 대통령이 어떻게 답할지가 관전 포인트다.
집권 첫 해 가장 많은 지적을 받았던 정치권과의 ‘불통’ 논란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도 관심이다.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의혹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서해 북방한계선(NLL) 관련 대화록 유출 및 폐기 논란 등이 정치권을 뒤흔든 와중에서도 대야 관계를 대립으로 치닫게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