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역앞 횡단보도 설치 표류 장기화

장애인·시민 신설 요구 불구 지하상가 상인 매출↓ 우려 보행권ㆍ상권 활성화 딜레마

부평지역 보행환경이 인천지역 최하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는 가운데 부평역 횡단보도 설치 갈등이 쉽사리 해소되지 않고 있다.

4일 구에 따르면 최근 인발연 연구결과 부평지역은 횡단보도가 없거나 불법 노점 등이 많다는 이유로 보행환경 만족도가 인천지역에서 가장 낮게 평가됐다.

지난 10월 부평역 상권 활성화 기본구상 연구용역에서도 보행권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돼 부평역 횡단보도 개설 등 보행 접근성 개선 방안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미 지역 장애인단체와 시민단체는 2000년대 중반부터 부평역 일대에 횡단보도가 없어 교통 약자들의 통행에 어려움이 많다며 횡단보도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부평역 광장을 중심으로 횡단보도가 300m 이상 떨어져 있으며, 지하상가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있더라도 복잡한 상가 구조 탓에 접근성이 낮다.

하지만, 보행권 보장을 위한 부평역 횡단보도 설치 문제는 지하상가 유동인구 및 매출 감소로 인한 상권 위축을 불러온다는 반대 주장에 부딪혀 매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지하상가 상인들은 상가 접근성 개선 사업을 꾸준히 진행 중이며, 상권 위축은 부평역 일대 유동인구 감소로 직결될 수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보행권 개선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상권 활성화 및 유동인구 증가를 위한 대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부평지하상가 관계자는 “보행이 편하다고 무조건 유동인구가 늘지는 않는다”며 “그동안의 노력으로 지하상가 접근성이 좋아진 만큼 횡단보도 신설 필요성이 그리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부평역 상권 활성화 방안 중 하나로 횡단보도 설치 방안이 논의 중이다”며 “관련 단체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개선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