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동네 ‘음지의 아이’들 양지로 이끄는 지역사회 ‘마지막 보루’

② 남구지역아동센터

“오해받고 혼날 때 가출하고 싶었어…(중략)…선생님이 부모님 모셔오라 했을 때 학교 가기 싫었어…(중략)…내 말을 들어봐. 내 말을 들어봐.”

인천시 남구지역아동센터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두 명이 만든 자작곡이다. 아직 노래의 완성도는 조금 떨어지지만, 초등학생의 솜씨라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다.

남구지역아동센터가 ‘아이가 부르는 평화’를 주제로 어린이들이 직접 작사·작곡하고 녹음까지 한 노래를 모아 앨범을 제작했다. 학교폭력이나 자살예방 등을 막고, 생명존중 인식을 높이기 위한 아이들의 작은 노력 중 하나다.

남구는 유흥가와 낙후된 빌라 밀집지역이 많고, 도서관·문화시설이 열악해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메말라 있다. 이로 인해 으슥한 골목과 공원, 학교주변 길거리는 불량 청소년이 많이 활동하고 있어, 방황하는 청소년에 대한 관심과 대책은 물론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

남구지역아동센터는 현행법에 의무사항인 5개 안전교육 등이 매우 형식적인데다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없어 내용적인 한계가 있음을 알게 됐다. 관련기관과 연계돼 아이들이 직접 참여해 배우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했지만, 아동센터의 고질적인 문제인 열악한 재정이 발목을 잡았다.

그러던 차에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이 ‘빛’이 됐다. 올해 인천모금회로부터 ‘체계적인 안전교육 지원과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안전한 우리 남구’ 프로그램 비용으로 1천여만 원을 지원받은 남구지역아동센터는 안전교육 및 식중독 예방, 학교폭력 예방 교육 등 전문 교육담당자를 섭외해 진행하며 아이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육을 했다.

특히 지역 내 11개 지역아동센터와 함께 공동 교육을 하고, 지역 내 경찰서와 약사회, 어린이급식지원센터, 인천여성회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역공동체를 형성했다. 5월과 10월엔 ‘남구 안전의 날’ 행사를 통해 이 같은 안전도시 만들기에 대한 홍보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명영 사무국장은 “올해 아이들에게 체계적이고 친근한 안전교육을 하게 됐고, 지역의 관심을 이끌어내 사회안전망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며 “내년엔 지역 내에 이를 더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